728x90
반응형

근공 116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고 추세선에 대해 알아볼까 뇽?

차트 분석의 사실상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정의 · 저항선 : 주가의 고점들을 연결한 선. 추가적인 주가 상승을 억제시킬 정도로 매도세가 매수세를 압도하는 주가 수준. · 지지선 : 주가의 저점들을 연결한 선. 추가적인 주가 하락을 억제시킬 정도로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하는 주가 수준. ​ ​ 2) 활용 · 현재 주가가 최소한 어느 수준까지 상승할지 하락할지를 예측하는데 도움. · 매수, 매도 시 기준점이 된다. 예를 들어 지지선에서 지지되면 매수, 붕괴 시에는 매도 신호이고 저항선의 경우는 돌파되면 매수, 저항을 받으면 매도라고 판단한다. ​ · 추세전환의 신호. · 고점과 저점의 봉우리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크다. · 저항선이 돌파되면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역할이 전환된다. ​ ​ 추세선..

Investment 2023.04.27

다우 이론에 대해서 알아볼까 뇽?

우리가 항상 경제뉴스를 통해 듣는 '다우지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를 개발한 미국 다우존스사의 창시자인 찰스 다우 (Charles H. Dow)가 개발한 방법으로, 기술적 분석의 시초가 된 이론입니다. ​ 일단 주가가 어떤 방향을 잡으면 그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는 원래 방향을 유지한다는 것이 내용의 핵심이며, 주기적으로 추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기본 내용입니다. ​ 다우이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일 단위의 단기추세, 3주에서 수 개월 지속되는 중기추세, 1~10년에 걸친 장기 추세로 구분하고, 새로운 중기추세의 최저점이 이전에 형성된 장기추세의 최저점보다 높을 경우, 장기 추세는 상승국면으로, 새로운 중기추세의 최고점이 이전에 형성된 장기추세의 최고점을 넘지 못하면 ..

Investment 2023.04.26

세계 체제와 산업 혁명 그리고 투자에 대해서 알아볼까 뇽?

투자에서 알아둬야 할 관점 중에 하나는 세계 체제입니다. 이매뉴얼 월러스틴(Immanuel Maurice Wallerstein)이 주장한 이 세계체제는 원래 자본주의라고 우리가 부르는 현대 산업의 시장체제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위해서였습니다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세계가 어떻게 분업이 되는지 그리고 시장체제가 세계 단위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 ​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인 토머스 프리드먼이 쓴 렉서스와 올리브나무라는 책에서는 1차 세계대전 당시의 글로벌 금융투자의 위력이 쥐꼬리만 했다면 오늘날의 이런 투자는 티라노 사우러스만큼이나 강하다고 썼습니다. ​ 미국 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영어, 세계최강대국, 미군, 디즈니랜드, 맥도널드, 마이크로소프트,..

Investment 2023.04.23

P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뇽?

PER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동종업계 비교 방법입니다. 즉 삼성전자는 PER가 10배인데 LG전자는 PER가 20배라면 삼성전자는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10배에 불과한데 LG는 20배씩이나 주고 사야 하기 때문에 LG가 삼성보다 2배 더 비싼 것으로 평가됩니다. 둘째는 PER의 역수를 금리랑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거시적인 관점, 시장 전반을 살필 때 많이 사용합니다. 물론 개별주식의 경우도 의미는 있습니다만 기업이 클수록 거시적인 지표에서 쓰이는 것이 더욱 정확하게 들어맞습니다. ​ 예를 들어 아까말한 바와 같이 삼성전자 주가가 10배 면 1/10=10%, 즉 회사의 가치의 성장률을 10배라고 하면 현재 금리가 2%라면 삼성전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현재 금리 대비 8%..

Investment 2023.04.22

투자 손실을 줄여주는 볼린저 밴드에 대해 알아볼까 뇽?

차트 분석을 즐겨하는 것은 아니지만 트레이더에게 있어서 차트는 나침반입니다. 차트의 기술적 지표들은 투자의 확률을 높여주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트를 공부를 하시면 승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부자의 길에 다가가게 됩니다. 주식은 결국 확률 싸움입니다. 세븐 포커를 주식에 저는 많이 비유하는데 세븐 포커를 치실 때 아무 생각 없이 치는 분이 계신가 하면 현재의 패와 상대방의 패를 비교하면서 서로의 확률을 계산하면서 치시는 분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실 때에 승률은 어느 쪽이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저는 당연히 후자라고 생각합니다. 차트의 기술적 지표들은 같은 게임을 할 때에 확률을 분석해 주는 지표라고 생각됩니다. 포커와 같은 게임을 할 때에 확률적으로 계산해 주는 기계가 있다면 ..

Investment 2023.04.20

주식의 상장과 폐지는 왜 하는지에 대해 알아볼까 뇽?

회사는 도대체 "왜" 주식을 상장할까요?" 회사는 자본을 투자받기 위해서 주식을 상장합니다. 뿐만 아니라 주식을 상장하면 몇 가지 추가적인 혜택이 있습니다. 주식을 상장하면 회사의 지분을 "상대적으로 쉽게" 사고 팔 수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를 쉽게 받을 수 있고, 투자금의 유용이 수월해지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상장을 하고 싶어 합니다. 그러면 폐지는 왜 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주식의 상장과 폐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상장은 영어로는 IPO: Initial Public Offering 라 쓰고 기업공개라고 합니다. 영어권에서는 (특히 미국) 글자가 길기 때문에 기업 공개 이후 주식시장에서 약자로 해당 주식을 표시합니다. 일반 대중 public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게 자기 회사가 거..

Investment 2023.04.19

주식투자에 대한 성공 요건에 대해 알아볼까 뇽?

제가 생각하는 주식투자에 대한 성공 요건에 대해서 한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의 주식 투자는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정보 접근이 용이해지고 신속해짐에 따라 누가나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 HTS가 처음 나왔을 때는 집에서 버튼 하나만 누르면 쉽게 매매를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MTS가 발전하여 어느 공간에서도 스마트폰 하나면 투자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주식 투자라는 것이 단순히 주식의 가격을 보고 사고파는 행위로 여겨지게 되고 이러한 문화는 사회 전반적인 현상이 되어 버린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점이 일반 투자자가 주식 투자의 성과가 안 좋은 가장 큰 요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좋은 기업과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를 하면 투자한 기업의 성과까지 나오기는 상당..

Investment 2023.04.17

제럴드 로브의 지지와 저항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뇽?

오늘은 지지와 저항의 창시자인 제럴드 로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럴드 로브는 1888년에 태어나 1974년까지 살았는데 누군가에게 주식을 배운 것이 아니라 독학으로 공부하였습니다. 1921년 월스트리트에 진출하게 되는데 그가 얼마나 노력을 많이 했냐면 근처 숙박시설을 잡고 매일 같이 새벽 5시에 일어나 주식에 집중했습니다. 자신이 밝힌 주식 투자의 성공 이유는 오로지 용감하게 주식에 미쳤기 때문이라고 할 정도로 그는 주식에 대한 마음이 진심이었습니다. 무일푼으로 시작하여 단기차익으로만 엄청난 수익을 냈는데 주식을 하면서 번돈은 1만 달러로 시작하여 3억 달러이며 40년 동안 30000%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제럴드 로브의 투자원칙 ​ 1.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투자한 뒤 대안이 없으면 쉬..

Investment 2023.04.16

성장주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뇽?

과거 PER 10배를 투자하는 가치 투자가 대세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PER 10배보다 20배인 주식의 매입을 선호하는 성장주의 투자가 많아졌습니다. 가치 투자를 해보면 아시겠지만 생각보다 많은 종목이 낮은 가격대를 벗어나기가 쉽지 않습니다. 반면에 고 성장의 투자의 경우 PER 30배 , 40배가 되어도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종목의 성장력을 분석하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며 연간 20% 이상의 고성장을 하는 것을 중점으로 성장주 포트폴리오를 만듭니다. 그리고 PER이 너무 낮은 가치주보다는 적당히 20배 정도 되는 종목을 투자하여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바로 성장주 투자 방법입니다. 성장력이 높을수록 PER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 주가가 2배가 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 성장주를 고를 때에는 많은 요소..

Investment 2023.04.15

경영능력을 파악해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 뇽?

경영능력을 파악해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하시는 방법 중에 개별 기업의 사업 내용 등을 조사해서 개별종목 투자로 매매차익을 노려보는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관련된 기업의 수익성을 검토하는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중소형주이면서 고정 고객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스톡형 비즈니스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투자를 합니다. ​ 경영능력을 파악하는데 비즈니스 모델만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경영자의 역량을 파악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회사를 어떤 경영자가 운영하느냐도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표이사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 주주총회나 IR 설명회 등을 부지런히 참석하는 것입니다. 경..

Investment 2023.04.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