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투자자 마인드 Back To Basics 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 뇽?

민댕e 2024. 3. 28. 14:15
728x90
반응형

스타 트레이더가 반짝 나왔다가 사라지고는 합니다. 금융 시스템이 아직 후진국이라서 나오는 고질병이라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모두가 다들 아시는 사실을 제외하고 눈에 보이는 결과에만 집착하는 한국인의 특성이 많은 스타 투자 유튜버, 스타 펀드 매니저 등등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을 따라서 투자하였다고 그들을 비판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른 시기에 다른 분야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투자자 자신의 기본기가 탄탄해야 됩니다. 기본기가 탄탄하지 않으면 잡기에 현혹되고 맙니다. 저는 눈만 뜨면 투자 생각을 하고 매일 같이 어떤 포지션을 잡아야 될까 고민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적합할지, 초보자들이 어떻게 하면 투자에 대한 본질을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매일 같이 새롭게 고민합니다.

잠을 자는 시간 마저도 차트가 보이고 길을 걸을 때도 투자 차트를 보면서 살고 있습니다. 좋은 투자 아이디어나 정보가 있으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 다시 한번 올리면서 다시 보고 되새기고는 합니다. 수많은 정보 중에서 쓸모 있는 것은 1%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를 보지 못하면 그 1%의 정보를 캐치할 수 없습니다.

그렇게 살다보니까 처음 투자를 시작하시고, 아직 개인 투자자인데 자리를 못 잡으신 분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기본으로 돌아가라입니다. Back to basics이라는 영어 단어로 많이 쓰이는 말인데 어떤 일이 잘 안 될 때 다시 한번 기본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경험을 통해서 보면 하락장일 경우 투자자의 왕성한 초심 에너지가 고갈됩니다. 하락장에서 트레이더들은 트레이더로의 기량이 나오는 시점입니다. 상승장에서는 사실 돈을 벌 가능성이 잃을 가능성 보다 훨씬 높지만 하락장에서는 돈을 잃을 가능성이 벌 가능성 보다 훨씬 높습니다. 전적으로 지금 같은 시기는 투자의 기본기에 달려있다고 확신합니다.

 

쉽게 수익을 낼 수 있는 곳에서 손실을 보거나, 손실을 제한하지 못하거나, 손실 금액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모든 행위는 기본기 부족에 원인이 있습니다. 투자에서 기본기는 제가 볼 때는 3가지입니다. 손절, 비중 조절, 주추세 이렇게 세 가지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본기를 잊고 새로운 기법을 배우고 찾으려고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처구니없는 실수도 대부분 기본기 부족에서 나옵니다. 뒤돌아 보면 엄청난 기술이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기본기가 부족해서 안 되는 것이고 체계적인 훈련으로 익힌 것이 반사적으로 나오지 않아서입니다. 반사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이미 그 타이밍은 놓진 것입니다. 찰나의 순간에 의사결정을 해야 되는 트레이딩의 순간에서 좋은 의사결정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습니다.

투자는 수많은 변수와 충격의 연속입니다. 그런 시장에서 대응하고 살아남으려면 기초가 탄탄해야 됩니다. 차곡차곡 기본기부터 쌓지 않으면 어느 순간 무너지는 투자자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힘든 시장일수록 기본기에 집중해야 되며 큰 자산을 쌓기 위해서는 차곡차곡 밑바닥부터 다져야 됩니다. 높은 건물을 짓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공사는 토공사와 지반 공사입니다. 1층이 없는 고층 빌딩은 없습니다.

너무 많은 현혹된 결과물에 눈길을 주지 말고 한 발자국씩 본인과의 싸움에서 이겨나가면서 올라야 합니다. 한 번에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는 없습니다. 계단을 한 발자국씩 올라가야 합니다. 이런 모든 것은 기본기에 있습니다. 경기가 불황이고 시장의 변동성이 높고 시장이 침체되고 그 어떤 외부 충격에서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본기에 충실한 투자가 되어야 됩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근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