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표는 일본의 트레이더 일목상사가 개발한 기술적 분석 도구로, 주가 변동의 추세와지지 및 저항선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는 선형 그래프와 캔들스틱 차트를 합쳐 놓은 것으로, 주가의 추세와 지지/저항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vvTA/btsAi40WfzA/vWo1guP3xCnqOMGohx4dnk/img.png)
일목균형표란 주식 기술적 분석 방법의 차트 분석법 중 하나로 일본의 일목산인(一目山人)이라는 별명을 가진 호소다 고이치(1898~1982)가 개발하여 1969년 신동전환선(新東轉煥線)란 이름으로 발표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으로 시간 개념이 포함된 지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중소형주보단 종합주가지수나 대형주 같은 큰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비트코인과 같이 시가 총액이 클수록 정확합니다. 일목균형표는 구름이 중심이 되어서 차트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TJnJ/btsAbmVRf1y/mcKHkwjUfsDnMgPKEKuXtK/img.png)
다양한 지표들의 기술적분석 원리가 집결된 지표. 일목 균형표입니다.
전환선
파랑선에 해당하는 선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9일간의 시세, 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이은 선입니다. 따라서 전환선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9일간의 최고가 + 9일간의 최저가) / 2 가 됩니다.
전환선이 갖는 의미는 단기간 내의 시세 중심 그리고, 매수하려는 힘과 매도하려는 힘 사이의 균형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기준선
윗 사진자료 기준 초록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26일간의 시세,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쭉 이은 선 입니다.
따라서, 전환선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26일간의 최고가 + 26일간의 최저가) / 2 가 됩니다.
그리고, 매수하려는 힘과 매도하려는 힘 사이의 균형관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중기적인 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전환선보다 덜 민감하게 움직이며, 현 추세방향과 지지와 저항 자리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후행스팬
윗 사진자료 기준 갈색 선에 해당하는 선 입니다.
단순히 당일 기준 당일을 포함한 26일 전까지의 주가를 앞당겨 표시해 둔 선입니다.
말하자면 현재부터 과거의 기록을 26일 치 앞당겨 표시해 둔 선이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선행스팬 #1
윗 사진자료 기준 주황선에 해당하는 선입니다.
당일의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을 구한 뒤 서로의 수치를 이어, 26일 이후에 위치시킨 선입니다.
따라서 선행스팬#1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전환선 수치 + 기준선 수치 ) / 2가 됩니다.
26일 이후에 위치시켰다는 것은, 선행 자료라는 뜻이지요. 이는 선행스팬#2와 함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선행스팬#2
윗 사진자료 기준 구름 상단의 노란 선에 해당하는 선입니다.
당일을 포함한 52일간의 시세, 종가 내에서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낸 수치를 이어, 26일 이후에 위치시킨 선입니다
따라서, 선행스팬#2 수치를 구하는 공식은 당일 기준 (52일간의 최고가 + 52일간의 최저가) / 2가 됩니다.
26일 이후에 위치시켰다는 것은, 선행 자료라는 뜻입니다.
이는 선행스팬#1와 함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Dap9/btsAksNx9fT/P9cb2vKhxBhTDkRCHPjJn0/img.jpg)
윗 사진자료 기준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의 공간 전부가 구름에 해당합니다.
선행스팬#1 과 선행스팬#2 가 형성되고, 그 사이의 빈 공간을 붉은색 혹은 녹색 구름이 채웁니다.
선행스팬#1 이 선행스팬 #2 보다 아래에 위치한 경우, 윗 사진과 같이 붉은 구름이 형성되며, 각 스팬이 저항역할을 합니다.
저항에 대한 신뢰도는 구름이 두꺼울수록 높아지며, 이는 대부분 하락추세 때 나타납니다. 선행스팬#1 이 선행스팬 #2 보다 위에 위치한 경우, 윗 사진 우측 끝부분과 같이 붉은 구름이 형성되며, 각 스팬이 지지역할을 합니다.
지지에 대한 신뢰도는 구름이 두꺼울수록 높아지며, 이는 대부분 상승추세 때 나타납니다.
전환선
전환선은 기본적으로 단기이동평균선 (9일이므로)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지지역할과 저항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가가 전환선의 아래에 위치할 땐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위에 위치할땐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선
기준선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기이동평균선 (26일이므로)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지지역할과 저항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주가가 기준선의 아래에 위치할 땐 저항을 받을 수 있으며, 위에 위치할땐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선 +
기준선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통해 현재의 추세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주로 상승추세일 땐 기울기가 양수를 나타내며 (방향이 상방), 기울기가 0 이거나 음수인 경우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주로 하락추세일 땐 기울기가 음수를 나타내며 (방향이 하방), 기울기가 0 이거나 양수인 경우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전환선 + 기준선
전환선과 기준선은 공통적으로 이동평균선과 비슷한 성질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의 특성을 이어받아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과 교차하여 위에 위치하게 될 땐 매수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균형표가 호전되었다' 혹은 '골든 크로스'라고 부릅니다.
균형표의 호전은 기준선의 기울기가 양수일 때 (방향이 상방일 때) 신뢰도가 높으며, 기준선의 기울기가 0이거나 음수일 땐 현 상황에 대한 의심을 해보셔야 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과 교차하여 아래에 위치하게 될 땐 매도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균형표가 역전되었다' 혹은 '데드 크로스'라고 부릅니다.
균형표의 역전은 기준선의 기울기가 음수일 때 (방향이 하방일 때) 신뢰도가 높으며,
기준선의 기울기가 0이거나 양수일 땐 현 상황에 대한 의심을 해보셔야 합니다.
선행스팬#1 + 선행스팬#2 = 구름
각 선행스팬 (구름대 하단과 구름대 상단) 은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선행스팬 #1 이 선행스팬 #2 위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스팬들 사이 영역이 녹색 영역으로 가득 차게 되며, 이를 양운이라고 합니다.
양운은 주로 주가의 지지 역할을 합니다.
양운이 두꺼울수록, 지지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합니다.
선행스팬 #1 이 선행스팬 #2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스팬들 사이 영역이 적색 영역으로 가득 차게 되며, 이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음운은 주로 주가의 저항 역할을 합니다.
음운이 두꺼울수록, 저항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합니다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가 주가의 변동에 의해 움직이면 언젠간 서로 교차하는 시점이 생깁니다.
교차하면서 스팬의 위아래 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당연히 구름의 색도 변하게 됩니다
보통 선행스팬끼리 교차하는 시점을 변곡점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양운이 음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고
음운이 양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수 관점으로 접근합니다.
보통 선행스팬끼리 교차하는 시점을 변곡점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양운이 음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고
음운이 양운으로 변화하는 시점엔 매수 관점으로 접근합니다
구름대 꼬임 시점을 이용하여 몇몇 트레이더들은 의사결정을 합니다.
또한 일목균형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지표 혹은 차트 패턴을 대입시켜 본다면 그다지 횡보를 이어갈 상황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후행스팬
보통 후행스팬이 주가를 위로 돌파하는 경우를 매수신호 발생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고,
후행스팬이 주가를 아래로 돌파하는 경우를 매도신호 발생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목구름은 기능만 놓고 봐선 지표의 끝판왕이라고 불릴만한 괜찮은 지표입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리기도 하는 지표인 만큼, 개인 취향에 맞는지부터 따져보시고 사용해 보시는 걸 권장드리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상호작용을 통해 주가의 추세와지지/저항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상승 추세, 하락 추세, 전환점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근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