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투기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조지소로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sQodK/btsdlKEik8g/5BKG3K32TRmpG2pcsXpwuK/img.png)
소로스는 1930년 8월 12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죠. 유태인이고요. 14세이던 무렵인 1944년 히틀러는 헝가리를 점령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f4cr/btsdlJSVPPj/LayvHZk1KfDDXjLzMR2XO0/img.png)
나치의 주요 정책은 유태인 말살과 레벤스 라움 Lebens Laum 즉 게르만족을 위한 유럽건설입니다. 그래서 소로스는 살아남기 위해 눈치를 키울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살아남았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영국의 LSE 런던정경대에서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그런 삶이 그의 투자 철학에 많은 반영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칼 포퍼' 의 아래에서 투자 철학을 확립했습니다.
열린 사회와 적들은 칼 포퍼의 제일 유명한 저서입니다. 조지 소로스 덕분에 많이 유명해진 책입니다.
런던에서 아르바이트로 고학을 하던 조지 소로스는 런던의 한 헝가리계 투자은행에 수습사원으로 취업했습니다. 롱숏전략, 즉 매수하거나 '공매도' 할 수 있는 전략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영국시장에서는 능력에 따라 수익을 올리는 데 제약을 받지 않았습니다. 소로스는 경험을 쌓고 1956년 미국으로 건너가 리서치헤드 일을 하며 월가에서 명성을 쌓아나갔습니다. 1969년 400만 불 규모의 작은 헤지펀드를 운용하며 펀드매니저로는 첫 발을 내디뎠고, 1973년 짐 로저스와 역사적인 헤지펀드 퀀텀펀드를 설립하며 투자의 전설이 되었습니다.
소로스는 재귀성 이론이라는 독특한 이론으로 초기에 승부를 봤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lmja/btsdzB0u9Jg/PdnFYuO2cOVmRUvvXfMkR0/img.png)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시장은 사람들이 거래를 하는 곳이며 사람들은 늘 과잉반응을 한다.' 는 건데 이를 이용해서 주식을 거래하면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재귀성이란 개념은 인간의 감정은 주식에 반영되어있고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다시 이런 주식을 사는 모습에 대해서 인지 기능을 하게 되고 이런 인지 기능 때문에 생각대로 바뀌어 조작 기능이 작동하여 주가의 움직임은 과도한 공포나 욕망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인지적이면서 조작적인 사회 현상을 해석하는 부분은 투자 철학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 및 사회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고 극단으로 치우쳐질 수 있지만 추후에는 다시 본질에 가깝게 된다고 하는 것이 재귀성 이론입니다.
소로스가 유명해진 것은 1990년 유럽연합의 유로화를 위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진 ERM 환율조정메커니즘으로 인해 파운드화가치가 과다평가 되었을 때 이를 공매도해서 큰돈을 벌게 되었습니다. 이것도 역시 인간의 인지 기능과 조작 기능을 잘 활용한 소르스의 승리라고 생각됩니다.
이때 영국은행과 전면전을 벌인건데, 영국은행은 유로화를 도입하기 위해 고평가 파운드화를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영란은행(Bank of England 영국중앙은행)에서 파운드화를 매수한 반면, 대규모 헤지펀드들은 차입을 통해 매도를 때렸고 결국 영국은행이져서 파운드화는 폭락했습니다. 이 때 영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고 이때부터 소로스의 별명은 과부제조기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적 평가에 있어서 조지 소르스는 워런 버핏과 같이 훌륭한 평가를 못 받는 것입니다.
그런 그도 인간의 욕망에 대해서는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여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2000년에 닷컴버블 때 마이크로소프트 등 IT 주식이 너무 올랐다고 생각해서 공매도했는데 랠리가 계속되자 포지션을 청산하고 매수포지션으로 갈아탔습니다. 공매도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청산하고 그 후에 폭락을 맞이하여 손실을 크게 입었는데 이때에 입은 손실이 약 5조 원가량이었습니다. 거품이 일어나고 욕망이 번져서 과대평가가 되었다는 것은 알았지만 공매도 잡는 시점이 너무 빨랐고 그도 인간의 욕망이 얼마나 갈 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파악을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2011년에는 금에 베팅해 큰돈을 벌었습니다. 금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고 공포심을 가질 때 투자하였던 것이 성공의 요인이었습니다.
최근 다보스 포럼에서 조지 소르스는 러시아의 침공이 3차 세계 대전으로 가는 시작점이라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재귀성 이론으로 정치 사회적 측면을 해석하자면 그의 견해는 현재 보다 더욱 인간이 인지하고 조작하면서 크게 문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푸틴의 전쟁 전략은 훌륭하였지만 더 이상 에너지 비축을 할 공간이 점점 줄어드는 상태인 7월경에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추가로 전쟁을 끝내기 위해서는 푸틴에게 빠른 패배를 안겨줘야 된다고 합니다.
훌륭한 투자가들은 시간이 되면서 현인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조지 소르스는 젊을 때는 비록 공격적으로 남의 돈을 갈취한다는 평을 많이 받았지만 최근에는 많은 호평들이 따라오고 있습니다. 조지 소르스 생을 분석해 보고 투자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출처 : 네이버블로그 / 근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