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다우 이론에 대해서 알아볼까 뇽?

민댕e 2023. 4. 26. 09:19
728x90
반응형

우리가 항상 경제뉴스를 통해 듣는 '다우지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를 개발한 미국 다우존스사의 창시자인 찰스 다우 (Charles H. Dow)가 개발한 방법으로, 기술적 분석의 시초가 된 이론입니다.

 

찰스 다우

일단 주가가 어떤 방향을 잡으면 그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는 원래 방향을 유지한다는 것이 내용의 핵심이며, 주기적으로 추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기본 내용입니다.

다우이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일 단위의 단기추세, 3주에서 수 개월 지속되는 중기추세, 1~10년에 걸친 장기 추세로 구분하고, 새로운 중기추세의 최저점이 이전에 형성된 장기추세의 최저점보다 높을 경우, 장기 추세는 상승국면으로, 새로운 중기추세의 최고점이 이전에 형성된 장기추세의 최고점을 넘지 못하면 앞으로의 장기추세는 하향국면으로 들어간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세의 진행과정

다우이론은 중기/장기로 이어지는 추세를 통해 투자자들의 움직임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매집국면, 상승국면, 과열국면 등등

 

1. 매집국면 (강세 1국면)

강세시장의 초기단계에서는 전체 경제 및 시장여건은 물론 기업환경이 회복되지 못하여 장래에 대한 전망이 어둡다고 평가합니다. 이때, 대중들로 구성된 일반 투자자들은 아직 공포심을 갖고 기다리는 상태이며, 전문 투자자들은 확신을 갖고 매수를 하는 단계입니다.

2. 상승국면 (강세 2 국면)

강세시장의 제2 국면에서는 전반적인 경제여건 및 기업의 영업수익이 호전됨으로써 일반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주가가 상승하고 거래량도 증가되게 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따라서 이 국면에서는 기술적 분석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일반 투자자들은 여전히 두려움 속에 관망하는 상태이며, 전문 투자자들은 매수 속 매도 준비를 하는 단계입니다.

3. 과열국면 (강세 3 국면)

강세시장의 제3 국면에서는 전체 경제 및 기업수익 등이 호조를 보이고 증권시장도 과열기미를 보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에 경험이 없는 일반투자자들이 이때부터 확신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게 됩니다.

4. 분산국면 (약세 1 국면)

강세시장의 제3 국면에서는 시장이 지나치게 과열된 것을 감지한 전문투자자들이 투자수익을 취한 후 빠져나가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주가가 조금만 하락하여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거래양상을 보이게 되기 때문에 분산국면이라 일컫습니다.

5. 공포국면 (약세 2 국면)

경제 및 기업수익 등이 나빠짐에 따라 주식을 매도하려는 일반 투자자들의 마음이 조급해지고, 주식의 매입세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되는 동시에 투매 분위기가 조성되어, 주가는 수직적으로 하락하며 거래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6. 침체국면 (약세 3 국면)

공포국면에서 미처 처분하지 못한 일반 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이 출현됨으로써 투매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주가는 계속 하락하지만, 가격의 바닥을 확인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주가의 낙폭은 작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강세 2 국면에서는 점진적 매도, 제3국면에서는 매도 전략이 권장되며, 약세 2국면에서는 점진적 매수, 제3 국면에서도 매수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우이론은 근본적으로 국면 단계로 구분된 주추 세와 이를 구성하는 중기추세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과, 추세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이 늦기 때문에 시세 판단 시 적용이 어렵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블로그 / 근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