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ment

피보나치 수열과 주식 차트 분석에 대해 알아볼까 뇽?

민댕e 2023. 4. 8. 00:21
728x90
반응형

피보나치수열과 차트 분석에 대해서 알려드릴 것인데 이론 자체가 수학적인 내용입니다. 보시다가 궁금하신 점 있으시거나 이해 안 되시는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피보나치

수학 교과서에서 항상 보는 피보나치수열은 사실 금융공학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수열입니다. 피보나치는 피사의 상업 중심지에 태어나 상업 관련 종사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타고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피보나치수열은 피보나치의 저서 산반서라는 책에서 나오는데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것이 단순하게 더하는 것이 아니라 숨겨진 이면을 보면 자연의 황금 비율이 나옵니다. 황금 비율은 여러 분야에서 볼 수 있는데 오늘은 금융 투자에서 볼 수 있는 피보나치수열의 활용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피보나치수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2,3,5,8,13..... 이렇게 처음의 두 개의 1을 제외하고 앞의 숫자를 더한 다음의 숫자가 됩니다.

신기한 것은 뒤의 숫자는 약 1.618배가 되며 한 칸 건너뛴 뒤의 숫자는 그 숫자의 약 2.618배가 됩니다. 따라서 앞의 숫자는 뒤의 숫자의 약 0.618배가 되며 한 칸 건너뛴 뒤의 숫자의 약 0.382배가 됩니다.

피보나치 연구의 핵심은 바로 이러한 숫자들의 비율인데 23.6%, 38.2%, 50.0%, 61.8%, 100%, 1161.8%로 구성되는데 특히 1.618과 0.618은 피라미드나 파르테논 신전에서 활용했던 황금 비율이고 자연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아주 완벽하고 아름다운 수입니다.

 

다빈치

 

피타고라스 플라톤 다빈치등 이 비율을 사용했고, 엘리어트도 파동 이론에서 핵심적인 비율로 활용했습니다.

피보나치수열은 기술적 분석에 있어서 보통 팬, 아크, 시간, 되돌림등으로 사용되는데 가장 쉽게 쓸 수 있는 팬, 아크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트 오른쪽 네모 확인

차트 옆에 그려져 있는 버튼 보이십니까?

이 버튼들이 피보나치 관련한 차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피보나치 팬

 

피보나치 팬은 상승 국면이 마무리되면 상승이 시작되었던 현저한 골과 하락 반전했던 현저한 정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변으로 하여 정점으로부터 수직선을 그리고 골에서는 수평선을 그으면 삼각형이 만들어지는데 이 삼각형의 수직선을 앞서 말한 비율로 연결하게 되면 우상향으로 뻗어나가는 차트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우하향으로 그리게 되면 지지선과 저항선을 정확하게 그려서 볼 수 있고 타점을 잡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의 하락 지점과 상향 지점만 연결하여 보는 경우가 많은데 피보나치 팬을 활용하면 추세가 완연히 보이는 국면이 아닌 급격하게 움직이는 부분에서는 더욱 잘 보일 수 있습니다.

큰 추세를 따라가는 것은 이평선이나 추세선을 활용하면 되고, 큰 변화가 이뤄지는 시점의 경우에는 피보나치 팬이 큰 역할을 합니다.

 

피보나치 아크

피보나치 아크의 경우에는 최저점과 최고점 사에서 체선이 그려지는데 고점과 저점을 잇는 추세선 중간에 나타나는 호들로 매도 타점을 잡아주는 기능을 합니다. 피보나치 아크의 경우에는 가격이 원호에 근접할수록 지지와 저항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락일 경우에는 반대로 그리면 매수 시점을 알려주는 기능을 합니다.

팬 하고 원호는 제가 많이 써서 자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드리고 시간대와 되돌림의 경우에는 큰 효과가 없어서 따로 설명을 안 드리겠습니다.

사실 이런 피보나치 팬과 아크의 경우 단점이 급락과 급등하는 경우에는 자연스럽지 못한 거래를 보이기 때문에 잘 안 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엔씨 같은 경우도 위에 사진을 보면 아시겠지만 급등을 했고 예측하지 못하였고, 비이성적인 하락과 상승이었기 때문에 매도 타점을 잡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이게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내용이긴 한데 이것만 잘 그려도 어느 정도 차트가 눈에 들어오고 매수 매도 타점이 보이니 투자하실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네이버블로그 / 근공

728x90
반응형